지금 바로 회원가입하고 카이트로닉스의 다양한 소식을 확인하세요!
로그를 불러올 수 없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.
1. 로그 관련 파일 .bin, .csv, metadata.txt 등을 열어두고 계신 경우 파일을 읽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.
> 열어둔 파일을 모두 종료 후 로그 불러오기를 시도해주세요.
종료 후에도 안되는 경우 PC를 다시 시작 후 시도해주세요. 프로그램이 꺼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.
2. Windows 관리자 권한 문제로 파일을 불러오지 못 할 수 있습니다.
> ForceLAB2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로그 불러오기를 시도해주세요.
3. metadata.txt 파일이 있는 경로에 스냅샷을 저장하는 경우 스냅샷을 로그로 혼동하여 불러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> 스냅샷 저장 위치를 변경 후 다시 로그 불러오기를 시도해주세요.
4. 저장된 파일이 훼손된 경우 로그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.
위 3가지 모두 시도 후에도 로그 불러오기에 실패하면 아래 연락처를 통해 문의 바랍니다.
홈페이지: 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이메일: sales@kitronyx.com
전화: 02-564-0441
저항막 방식 센서와 정전용량 방식 센서의 차이는 무엇일까요?
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방식이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터치 센서 기술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.
두 방식은 터치 기술에 쓰이지만, 작동 원리가 다른 센서입니다.
1. 저항막 방식(Resistive Type) 센서
저항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은 초기 스마트폰의 터치 인식 방식입니다.
이 방식은 누르는 힘에 의해 작동되므로 감압식으로도 불립니다.
상하부에 있는 전도층이 압력에 의해 접촉하면 저항이 변화하고, 이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식합니다.
정전식에 비해 더 높은 압력이 필요하지만, 장갑을 낀 손으로도 터치가 가능해 산업용으로 널리 쓰입니다.
2. 정전용량 방식 (Capacitive Type) 센서
정전방식 센서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합니다.
손가락과 같은 도체가 센서 근처에 오면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, 이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식합니다.
정전식 센서는 높은 감도로 가벼운 터치에도 반응하며, 최신 스마트폰에서 주로 활용됩니다.
대표적인 특징 및 차이점을 아래 표로 나타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그렇다면, 카이트로닉스의 센서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할까요?
카이트로닉스의 센서는 FSR(Force Sensing Resistor)센서로, 물리적인 힘이나 압력에 의해 저항 값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 저항식 센서입니다.
특히, FSR 센서는 얇은 필름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이나 간섭이 최소화되어야 하는 산업 장비에도 적용 가능합니다.
카이트로닉스의 제품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하기로 문의 주세요.
최대한 신속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.
🏠홈페이지: 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📨이메일: sales@kitronyx.com
📞전화: 02-564-0441
전자감압지 센서의 측정 값(Force)이 실제 측정 값 보다 너무 높게 나오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.
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
1. 센서를 오래 사용하여 센서의 특성이 많이 변한 경우입니다.
A: 센서를 주기적으로 캘리브레이션 후 사용해주세요.
2. 캘리브레이션 가압 범위를 많이 벗어나는 힘으로 누른 경우입니다.
A: 캘리브레이션을 실제 사용하는 환경에 맞게 진행해야 합니다.
3. 캘리브레이션 가압 재질과 실제 환경에서 가압 재질이 다른 경우입니다.
A: Scale Factor 기능을 이용하거나 실제 환경과 유사하게 캘리브레이션을 해야 합니다.
4. 센서를 상온이 아닌 더 높은 온도에서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A: 센서가 파손되지 않은 상태라면 Scale Factor 기능을 이용해보세요.
Scale Factor 기능 알아보기
카이트로닉스는 소정의 비용으로 캘리브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신 경우 아래로 문의 바랍니다.
※ 센서의 상태나 가압 환경에 따라서 캘리브레이션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.
Windows10 기준입니다.
Windows키 + R 키를 같이 눌러주세요. 실행 창이 나옵니다.
dxdiag 를 입력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.
CPU와 메모리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1, 2로 넘어가시면 사용하는 그래픽 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현재 고속측정이 가능한 컨트롤러는 없으며, 커스텀 개발이 가능합니다.
이전 사례에서는 600Hz의 고속측정을 하여 볼드랍을 테스트한 경험이 있습니다.
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조해주세요.
https://youtube.com/shorts/9wj0urKFkAI?si=rAb4sgJl5MonDKAX
커스텀 개발 및 제품 문의는 아래 연락처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.
ForceLAB2를 구매 후 수령하신 라이선스 동글을 잃어버리신 경우에는 재 구매를 해주셔야 합니다.
ForceLAB2 구매 후 라이센스 동글이 1년 이내 고장난 경우에는 무상 교체가 가능합니다.
단,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경우에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1년 이후 고장에 대해서는 유상 교체가 가능합니다.
컨트롤러 테스트 보드는 2024년 4월 신규 컨트롤러 패키지부터 제공됩니다.
컨트롤러 테스트 보드 필요 시 문의 바랍니다.
컨트롤러 테스트 보드 사용 방법 링크
연락처
로그 데이터를 기록 중 중간에 기록이 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했을 때 원인 및 해결 방법입니다.
※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의 복원은 불가능합니다.1. PC 절전/대기 모드 진입
PC가 절전이나 대기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통신이 중단되고 다시 활성화 될 때까지 기록이 중단됩니다.
PC의 절전/대기 모드를 진입하지 않도록 설정해주세요.
Windows10 기준 아래 순서를 따라서 설정해주세요.
1. 작업 표시줄 - 검색 창에서 설정 검색 및 실행
2. 시스템 - 전원 및 절전 선택
3. 화면 전원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끄기 [안 함] 설정
4. 절전 모드 전원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PC를 절전 상태로 전환 [안 함] 설정
2. 무선 통신 에러 발생
1. 컨트롤러의 배터리 부족으로 충전 후 사용해주세요. 장기간 사용해야 한다면 유선으로 충전하면서 사용해야 합니다.
2. 무선 환경에 의한 통신 에러인 경우 1:1 연결에서는 컨트롤러의 채널, 1:N 연결에서는 공유기의 채널을 변경해주세요.
채널 변경 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주변 통신 환경을 다시 구성하거나 유선 사용을 권장합니다.
3. 유선 통신 에러 발생
1. 컨트롤러와 PC를 연결하는 USB케이블 불량이 있을 수 있습니다. USB 케이블을 교체해주세요.
2. USB 허브를 사용 중이라면 USB 허브의 사양 부족이나 불량으로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통신 중단이 생길 수 있습니다.
PC와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전원 공급이 되는 USB 허브를 사용해주세요.
3. PC의 USB 단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. USB 단자를 다른 단자로 변경해주세요.
해당 부분 조치 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면 문의 바랍니다.
02-564-0441
sales@kitronyx.com
https://www.kitronyx.co.kr/support_request
ForceLAB2 소프트웨어의 경우 정식 릴리즈 전 베타 버전이 공개됩니다.
정식 버전보다 빠르게 ForceLAB2를 사용해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사용 문의를 남겨주세요.
※ Trial의 경우 사용하시는 버전이 바뀌더라도 2주 데모 사용 기간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홈페이지에서 카드로 결제하신 경우, 매출전표는 사용하신 카드사의 웹사이트에서 출력하셔야 합니다.
로그를 불러올 수 없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.
1. 로그 관련 파일 .bin, .csv, metadata.txt 등을 열어두고 계신 경우 파일을 읽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.
> 열어둔 파일을 모두 종료 후 로그 불러오기를 시도해주세요.
종료 후에도 안되는 경우 PC를 다시 시작 후 시도해주세요. 프로그램이 꺼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.
2. Windows 관리자 권한 문제로 파일을 불러오지 못 할 수 있습니다.
> ForceLAB2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로그 불러오기를 시도해주세요.
3. metadata.txt 파일이 있는 경로에 스냅샷을 저장하는 경우 스냅샷을 로그로 혼동하여 불러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> 스냅샷 저장 위치를 변경 후 다시 로그 불러오기를 시도해주세요.
4. 저장된 파일이 훼손된 경우 로그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.
위 3가지 모두 시도 후에도 로그 불러오기에 실패하면 아래 연락처를 통해 문의 바랍니다.
홈페이지: 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이메일: sales@kitronyx.com
전화: 02-564-0441
저항막 방식 센서와 정전용량 방식 센서의 차이는 무엇일까요?
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방식이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터치 센서 기술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.
두 방식은 터치 기술에 쓰이지만, 작동 원리가 다른 센서입니다.
1. 저항막 방식(Resistive Type) 센서
저항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은 초기 스마트폰의 터치 인식 방식입니다.
이 방식은 누르는 힘에 의해 작동되므로 감압식으로도 불립니다.
상하부에 있는 전도층이 압력에 의해 접촉하면 저항이 변화하고, 이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식합니다.
정전식에 비해 더 높은 압력이 필요하지만, 장갑을 낀 손으로도 터치가 가능해 산업용으로 널리 쓰입니다.
2. 정전용량 방식 (Capacitive Type) 센서
정전방식 센서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합니다.
손가락과 같은 도체가 센서 근처에 오면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, 이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식합니다.
정전식 센서는 높은 감도로 가벼운 터치에도 반응하며, 최신 스마트폰에서 주로 활용됩니다.
대표적인 특징 및 차이점을 아래 표로 나타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그렇다면, 카이트로닉스의 센서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할까요?
카이트로닉스의 센서는 FSR(Force Sensing Resistor)센서로, 물리적인 힘이나 압력에 의해 저항 값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 저항식 센서입니다.
특히, FSR 센서는 얇은 필름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이나 간섭이 최소화되어야 하는 산업 장비에도 적용 가능합니다.
카이트로닉스의 제품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하기로 문의 주세요.
최대한 신속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.
🏠홈페이지: 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📨이메일: sales@kitronyx.com
📞전화: 02-564-0441
전자감압지 센서의 측정 값(Force)이 실제 측정 값 보다 너무 높게 나오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.
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
1. 센서를 오래 사용하여 센서의 특성이 많이 변한 경우입니다.
A: 센서를 주기적으로 캘리브레이션 후 사용해주세요.
2. 캘리브레이션 가압 범위를 많이 벗어나는 힘으로 누른 경우입니다.
A: 캘리브레이션을 실제 사용하는 환경에 맞게 진행해야 합니다.
3. 캘리브레이션 가압 재질과 실제 환경에서 가압 재질이 다른 경우입니다.
A: Scale Factor 기능을 이용하거나 실제 환경과 유사하게 캘리브레이션을 해야 합니다.
4. 센서를 상온이 아닌 더 높은 온도에서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A: 센서가 파손되지 않은 상태라면 Scale Factor 기능을 이용해보세요.
Scale Factor 기능 알아보기
카이트로닉스는 소정의 비용으로 캘리브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신 경우 아래로 문의 바랍니다.
홈페이지: 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이메일: sales@kitronyx.com
전화: 02-564-0441
※ 센서의 상태나 가압 환경에 따라서 캘리브레이션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.
Windows10 기준입니다.
Windows키 + R 키를 같이 눌러주세요. 실행 창이 나옵니다.
dxdiag 를 입력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.

CPU와 메모리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1, 2로 넘어가시면 사용하는 그래픽 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현재 고속측정이 가능한 컨트롤러는 없으며, 커스텀 개발이 가능합니다.
이전 사례에서는 600Hz의 고속측정을 하여 볼드랍을 테스트한 경험이 있습니다.
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조해주세요.
https://youtube.com/shorts/9wj0urKFkAI?si=rAb4sgJl5MonDKAX
커스텀 개발 및 제품 문의는 아래 연락처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.
홈페이지: 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이메일: sales@kitronyx.com
전화: 02-564-0441
ForceLAB2를 구매 후 수령하신 라이선스 동글을 잃어버리신 경우에는 재 구매를 해주셔야 합니다.
ForceLAB2 구매 후 라이센스 동글이 1년 이내 고장난 경우에는 무상 교체가 가능합니다.
단,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경우에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1년 이후 고장에 대해서는 유상 교체가 가능합니다.
홈페이지: 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이메일: sales@kitronyx.com
전화: 02-564-0441
컨트롤러 테스트 보드는 2024년 4월 신규 컨트롤러 패키지부터 제공됩니다.
컨트롤러 테스트 보드 필요 시 문의 바랍니다.
컨트롤러 테스트 보드 사용 방법 링크
연락처
홈페이지: 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이메일: sales@kitronyx.com
전화: 02-564-0441
로그 데이터를 기록 중 중간에 기록이 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했을 때 원인 및 해결 방법입니다.
※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의 복원은 불가능합니다.
1. PC 절전/대기 모드 진입
PC가 절전이나 대기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통신이 중단되고 다시 활성화 될 때까지 기록이 중단됩니다.
PC의 절전/대기 모드를 진입하지 않도록 설정해주세요.
Windows10 기준 아래 순서를 따라서 설정해주세요.
1. 작업 표시줄 - 검색 창에서 설정 검색 및 실행
2. 시스템 - 전원 및 절전 선택
3. 화면 전원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끄기 [안 함] 설정
4. 절전 모드 전원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PC를 절전 상태로 전환 [안 함] 설정
2. 무선 통신 에러 발생
1. 컨트롤러의 배터리 부족으로 충전 후 사용해주세요. 장기간 사용해야 한다면 유선으로 충전하면서 사용해야 합니다.
2. 무선 환경에 의한 통신 에러인 경우 1:1 연결에서는 컨트롤러의 채널, 1:N 연결에서는 공유기의 채널을 변경해주세요.
채널 변경 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주변 통신 환경을 다시 구성하거나 유선 사용을 권장합니다.
3. 유선 통신 에러 발생
1. 컨트롤러와 PC를 연결하는 USB케이블 불량이 있을 수 있습니다. USB 케이블을 교체해주세요.
2. USB 허브를 사용 중이라면 USB 허브의 사양 부족이나 불량으로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통신 중단이 생길 수 있습니다.
PC와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전원 공급이 되는 USB 허브를 사용해주세요.
3. PC의 USB 단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. USB 단자를 다른 단자로 변경해주세요.
해당 부분 조치 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면 문의 바랍니다.
02-564-0441
sales@kitronyx.com
https://www.kitronyx.co.kr/support_request
ForceLAB2 소프트웨어의 경우 정식 릴리즈 전 베타 버전이 공개됩니다.
정식 버전보다 빠르게 ForceLAB2를 사용해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사용 문의를 남겨주세요.
※ Trial의 경우 사용하시는 버전이 바뀌더라도 2주 데모 사용 기간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https://www.kitronyx.co.kr/contact
홈페이지에서 카드로 결제하신 경우, 매출전표는 사용하신 카드사의 웹사이트에서 출력하셔야 합니다.